메뉴 건너뛰기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양촌(陽村) 권근(權近) 시(詩) 2

 

법호: 순암(順菴) 당호: 허정당(虛淨堂)이며 삼장법사(三藏法師),

현오대선사(玄悟大禪師), 자은군(慈恩君), 의선공(義璇公), 삼장공(三藏公),

조순암(趙順菴), 조의선(趙義旋), 삼장순암법사(三藏順奄法師), 선공(璇公)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우고 칭송되었다.

 

삼장법사(三藏法師)는 경장(經藏), 율장(律藏), 논장(論藏)에 통달한 승려를

높여 부르는 말로 경장은 부처의 말씀을 기록한 불경, 율장은 불교 제자들의

법칙과 규율을 기록한 불경, 논장은 부처의 말씀을 적은 경장의 해설서로,

의선은 삼장에 통달하여 삼장법사 호칭으로 불리웠다.

한국불교사상에서는 의선이 유일하다.

 

정숙공(貞肅公)의 4남으로 15세에 출가하여 천태종의 고승이 되었다.

중국에서 불도와 유자 사이에서 이름이 널리 알려졌으며,

고려에서도 많은 불교 제자와 유자들을 문도로 두었다.

 

 

양촌선생문집 제7권 / 시(詩)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평양백(平壤伯) 조공 준(趙公浚)을 축하한다.

 

열렬한 정숙공은 / 烈烈貞肅公

당당한 왕실의 보좌 / 堂堂王室輔

덕을 쌓아 대대로 어진이를 낳아 / 積德世生賢

장수와 정승이 항상 잇대었어라 / 將相常繼武

시중이 가성을 떨치매 / 侍中振家聲

뛰어난 기운이 환우에 넘치네 / 逸氣隘寰宇

일찍부터 글읽기를 좋아하여 / 早歲好讀書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등불을 돋우어 / 晝勤夜添炷

부지런히 삼분 오전을 탐구하고 / 孜孜窮典墳

힘써 올바른 법을 실천하였네 / 勉勉蹈規矩

의리는 정자와 주자를 밝히고 / 義理闡程朱

문장은 이태백과 두보를 따랐거니 / 詞華追李杜

과장에서 책문을 대답하여 / 對策場屋間

종장을 먼저 취하였네 / 宗匠乃先取

많은 선비 가운데서 뽑히니 / 挺拔多士中

아름다운 용모에 뛰어난 재주일세 / 文彩生毛羽

조정 반열에서는 잠신이 빛나고 / 朝班耀簪紳

원야에서는 수의와 부월이 밝았네 / 原隰明繡斧

선 좋아하기는 난새와 봉황 따르듯 하고 / 好善伴鸞凰

악 미워하기는 설유를 제거하듯 하였네 / 疾惡除䝟貐

큰 재목은 반드시 크게 쓰이는 것 / 宏材必大施

백성들이 단비 바라듯 하였거니 / 民草望霖雨

천명이 돌아가는 것을 분명히 알았으므로 / 灼知天命歸

의를 일으켜 밝은 임금을 도왔네 / 倡義翊明主

정벌은 은 나라와 주 나라를 더럽게 여겼고 / 征伐鄙殷周

읍양은 순 임금과 우 임금을 법받았거니 / 揖讓師舜禹

공은 만세의 기업을 열었고 / 功開萬世基

지위는 삼공부에 으뜸이었네 / 位冠三公府

귀밑머리는 아직 봄빛이니 / 兩鬢尙春光

한 몸은 천주와 같은 것을 / 一身是天柱

화상이 능연각에 비치니 / 圖畫照凌煙

총명으로 은수를 내렸네 / 寵命加恩數

신실하게 예를 더욱 공손히 하여 / 恂恂禮彌恭

스승 섬기기를 어버이 섬기듯 하였어라 / 事師如事父

위대하다 광양공이여 / 偉歟光陽公

시서 공부에 남달리 뛰어나 / 步驟詩書圃

감식이 가장 정하고 밝았으므로 / 鑑識最精明

능히 옥과 무를 변별하였네 / 能辨玉與碔

늙어도 쇠하지 않으니 / 鶴髮老不衰

하늘이 도와 오래 살으리 / 壽考受天祐

문생이 문생을 거느린 것은 / 門生領門生

다시 살펴보아도 고금에 드문 일 / 再閱罕今古

환갑을 당하여 축하연을 베푸니 / 獻壽設賀筳

하객이 거리를 메웠구나 / 冠盖塡街聚

사제의 도가 스스로 두터우니 / 師弟道自敦

진심에서 우러난 기쁨일세 / 懽然盡肺腑

교화가 이로부터 행해지리 / 敎化從此行

정승의 사업을 먼저 힘써야 하네 / 相業當先務

문치로 태평을 이루었으니 / 文治致太平

선비 됨이 참으로 진부하지 않구나 / 爲儒眞不腐

소생이 다행히 이때를 만나서 / 小生幸遭逢

성대한 일을 보게 됨이 기쁘네 / 盛事欣獲覩

또 새로운 아름다운 시구를 들으니 / 又聞佳句新

홀연히 두풍이 낫는 것을 깨닫겠네 / 忽覺頭風愈

반복하여 읊고 노래하니 / 圭復載詠歌

저절로 손이 춤을 추네 / 不知手之舞

변변찮은 말로 책 머리에 서를 쓰니 / 荒辭序卷端

반드시 남에게 조소를 당할 것이라 / 定被人嘲侮

송을 짓더라도 더없이 빛날 텐데 / 作頌亦斐然

변변찮은 재주는 길보가 부끄럽구나 / 非才慚吉甫

 

1) 삼분 오전(三墳五典) : 삼황오제(三皇五帝) 때에 있었다는 책이라 하는데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다. 여기서는 공부를 많이 했다는 뜻. 춘추좌전(春秋左傳) 소공(昭公)

    12년 조에 “왕이 나와서 다시 이야기를 할 때 좌사(左史) 의상(依相)이 빠른 걸음

    으로 지나갔다. 왕이 말 하기를 ‘저 사람은 훌륭한 사관(史官)이네. 자네는 잘 봐

    두게. 그는 삼분 오전 팔삭 구구(八索九丘)를 모두 읽을 수 있네’ 라고 하였다.” 한다.

2) 종장(宗匠) : 경학에 밝고 글 잘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여기서는 급제를 뜻한다.

3) 설유(猰㺄) : 사나운 동물의 이름인데 간신을 비유한 말. 이아(爾雅) 석수(釋獸)에

    “설유는 이리와 비슷한데, 호랑이 발톱을 가졌으며 사람을 잡아 먹는다.” 하였다.

4) 능연각(凌煙閣) : 공신이 되었음을 뜻하는 말. 당 태종(唐太宗) 17년에 공신들의

    훈공을 기리기 위하여, 그들의 화상을 그려 이 각에 걸었다 한다. (新唐書 太宗紀)

5) 은수(恩數) : 임금이 특별히 내리는 하사품(下賜品)이다.

6) 무(碔) : 옥 비슷한 돌인데, 간신을 비유한 말이다.

7) 길보(吉甫)가 부끄럽구나 : 길보처럼 좋은 글을 지어 찬미하지 못하는 것이

    부끄럽다는 뜻. 주 선왕(周宣王)의 외숙인 신백(申伯)을 사(謝)에 봉(封)하여 출발할

    때, 윤길보(尹吉甫)가 숭고(崧高)라는 시를 지어 전송하였다 한다. (詩經 大雅)

주석 : 8世 조준의 고종사촌 권현(權鉉)의 육촌이 권근이다. 조준의 문집인 송당집 서문을

         작성하였다. 권근(權近, 1352~1409) 초명은 권진(權晉), 자는 가원(可遠)·사숙(思淑),

         호는 양촌(陽村) 소오자(小烏子), 시호는 문충공(文忠公)이다. 8世 조준의 아들 9世

         조대림이 태종의 둘째 사위이고, 권근의 차남 권규(權跬)는 셋째 사위이다.

         권근의 외손자가 동문선의 저자 서거정이고, 9世 조대림의 따님이 순흥안씨

         안진(安進)과 혼인하여 낳은 안탁(安擢)의 사위가 권적(權勣)으로, 권근의 5대손이며,

         권적의 손자가 행주대첩의 권율(權慄)장군이다.

 

 

양촌선생문집 제8권 / 시(詩)

 

송당(松堂) 조 정승 준(趙政丞浚)의 시의 운을 차한다. 2수

 

문 앞 모래 둑이 비스듬한데 / 沙堤依舊對門斜

삼한의 교목이며 적선한 집이다 / 喬木三韓積善家

길에서 소 물어 국사 걱정 간절했고 / 道上問牛憂國切

조정에 악새 드려 어진이 많았다 / 朝中薦鶚進賢多

공신록 철권은 쌍축이 연했고 / 勳臣鐵券聯雙軸

정승 발령한 마서 오화 겹쳤다 / 寵相麻書疊五花

노론을 반분했다 이미 일렀소 / 已道魯論分二半

다시 반분 더하면 그 공 어떠리 / 更加一半著功何

미풍에도 실버들 하늘거리고 / 街頭風軟柳絲斜

서울 백만 집에 봄빛이 가득하다 / 春滿京都百萬家

섭리하는 도는 천지에 나타나고 / 燮理道從天地著

찬양하는 공은 묘당에 많다 / 贊襄功在廟堂多

뜰 앞 나무 그림자 창을 스치고 / 晴窓影拂階前樹

지붕 위 꽃 향기 서탑에 온다 / 書榻香來屋上花

우습다 들에서 한 구구한 꾀로 / 可笑區區謀野獲

청한하기 공 같기를 어찌 바라리 / 退思淸燕似公何

 

1) 길에서 소 물어 : 정승의 직책을 가리키는 말. 한(漢) 나라 정성 병길(丙吉)이 길을

    갈 때 사람 죽은 것을 보고는 아무 말을 않더니, 소가 헐떡이는 것을 보고는 “왜

    그러느냐?”고 물으므로, 옆의 사람이 그까짓 것은 왜 묻느냐고 하자 “사람이 죽은

    것은 경조윤(京兆尹)이 걱정할 일이요, 정승은 음양(陰陽)의 조화를 맡은 사람이라

    걱정이 되어 묻는 것이다.” 하였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漢書 丙吉傳)

2) 악새 드려 : 현인(賢人)을 추천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공융(孔融)의 천이형표

    (薦禰衡表)의 “지조 수 백 마리가 악새 한 마리만 못하다. (鷙鳥累百不如一鶚)”란

    대목에서 나오는 문자로, 악새는 곧 현능(賢能)한 인재를 상징하는 말이다.

3) 철권(鐵券) : 공신에게 나누어 주던 훈공을 기록한 책. 공신록.

4) 마서(麻書) : 조서(詔書). 조서를 황마지(黃麻紙)에 쓴다 하여 마서(麻書) 또는

    황마(黃麻)라 한다.

5) 노론(魯論) : 금문 논어(今文論語)의 일본(一本). 논어에 원래 제론(齊論), 고론(古論),

    노론(魯論) 3종이 있었는데, 노론은 노인(魯人)이 전한 것으로 후세에 논어를 가리키는

    말로 되었다. (漢書 藝文志)

6) 섭리(燮理)하는 도(道) : 삼공(三公)으로서 나라를 다스리는 도. 원래 서경(書經)

    주관(周官)의 “玆惟三公 論道經邦 燮理陰陽"이란 대목에서 나온 말로, 삼공의 직에

    있는 자는 천지 음양을 조화시켜야 된다는 데서 나온 문자. ‘섭(燮)’은 조화(調和),

    ‘이(理)’는 다스림의 뜻이다.

7) 찬양(贊襄)하는 공 : 임금을 보좌하여 정치를 이룩하는 공로. ‘찬’은 보좌(輔佐), ‘양’은

    성취(成就)의 뜻. 서경(書經) 고요모(皐陶謨)의 찬찬양재(贊贊襄哉)에서 나온 문자이다.

주석 : 8世 평양부원군 조준은 송당집(松堂集)이라는 문집을 남겼는데, 권근이 서문을

         써주었다. 송당집은 조준의 9世孫 조성(趙䃏)이 1669년에 성주 목사로 재직중

         목판본으로 만들고, 몇차레 중간하였으며, 28世 조춘상(趙春相) 회장이 처음으로

         한글본을 만들었으며, 2012년 한국고전번역원에서도 출판되었다. 사전 개혁을

         포함한 정치, 군사, 교육, 행정 전반의 개혁 상소문이 자세히 수록되어 있으며,

         조준의 시는 자유분방하고 걸출하여 천기(天氣)가 움직이는 듯 자연스럽게

         고고한 군자의 기상을 보여 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양촌선생문집 제8권 / 시(詩)

 

조우정(趙雨亭)의 운을 차하여 정춘곡(鄭春谷)에게 답한다.

 

조의 휘(諱)는 박(璞)이요, 정의 휘는 탁(擢)이다.

 

백악산 바로 앞에 초정이 하나 / 白岳山前一草亭

그늘 깊은 곳에 낮바람 맑다 / 綠陰深處午風淸

서로가 생각뿐 만나지 못하리 / 相思不得成良晤

가슴속 애틋한 정 풀기 어렵다 / 難寫胷中繾綣情

만여 리 길 중국에 함께 가면서 / 連袂朝天萬里餘

배 안에서 초강 생선 같이 먹었다 / 舟中共食楚江魚

이제 와서 후한 정상 다시 알겠다 / 如今更覺誠心厚

술안주로 푸성귀를 뽑아 왔구려 / 肴酒殷勤且摘蔬

 

주석 : 9世 조박(趙璞, 1356~1408)의 호가 우정(雨亭), 자(字)는 안석(安石), 시호는 문평

         (文平), 군호는 평원군(平原君)이다. 1376년 과거에 급제하였고, 여흥민씨 민제의

         첫째 사위로 둘째 사위는 이성계의 형인 이원계의 아들 이천우이고, 셋째 사위는

         태종 이방원이다. 아랫동서들이 태조 이성계의 조카와 아들이라 이성계를 적극

         지지하여 개국일등공신이 되었다. 1398년 겸대사헌(兼大司憲), 지경연사로서

         경연에서 대학(大學)을 강론하였고, 좌정승 조준(趙浚), 정당문학 하륜, 중추원

         학사 이첨(李詹), 봉상시소경(奉常寺少卿) 정이오(鄭以吾), 좌간의대부 조용(趙庸)

         과 함께 『사서절요(四書節要)』를 찬술하였다.

         정춘곡(鄭春谷)은 청주정씨 정탁(鄭擢, 1363~1423)으로 호가 춘곡이다. 개국일등

         공신이며, 태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부친 정공권의 사위가 유항 한수로 청주한씨

         한수는 6世 삼장법사 의선의 제자 나잔자(懶殘子)와 8世 조순(趙恂, 법명 묘혜

         妙慧)교류한 기록이 있다. 유항 한수의 아들 한상경은 개국삼등공신이다.

 

 

양촌선생문집 제9권 / 시(詩)

 

완산(完山)에 부임하는 평양군(平陽君) 조공(趙公)을 전송한다.

 

자주(自註) : 이때 천(踐)이 반자(半刺)가 되었다.

수령은 그전부터 귀한 것 / 出宰從來貴

더구나 그대는 젊은 때로세 / 多君少壯時

뛰어난 공으로 임금의 사랑 받았으니 / 殊勳蒙睿睠

너그러운 정사로 백성을 위로하게나 / 寬政慰民思

바람 불고 눈 내려서 이 해도 저무는데 / 風雪歲將暮

산 넘고 물 건너기가 정히 더디리 / 關河行正遲

이별에 임하여 못난 자식 생각하니 / 臨分憶豚犬

말하기가 괴로워 시도 아니 나온다 / 苦語不成詩

 

1) 천(踐)이…되었다 : 천은 양촌의 장남으로로 동지총제(同知摠制)를 지낸 권천(權踐)

    을 말한다. 반자(半刺)는 군수(郡守)의 보좌관, 즉 통판(通判), 장사(長史) 따위이다.

주석 : 9世 평양군 조박이 1394년경 전라도 관찰사로 임명된 것을 축하하는 시이다.

          양촌 권근은 1352년이고 우정 조박은 1356년 생이다.

 

 

양촌선생문집 제9권 / 시(詩)

 

조 정승 준(趙政丞浚)의 부인의 만사(挽詞)

 

시중의 손녀로 시중 집에 왔으니 / 侍中孫配侍中家

세상의 영예로움 이에 더함 있으랴 / 世上榮聲豈有過

다만 아들 하나 남겨 놓고서 / 只得明珠留一顆

어찌하여 달에 가서 항아 친구되는가 / 却忙奔月伴姮娥

 

1) 항아(姮娥) : 월궁(月宮)에 있다는 선녀의 이름. 회남자(淮南子) 남명훈(覽冥訓)에

    “예(羿)가 서왕모(西王母)에게서 불사약을 얻어 왔는데, 이것을 항아가 도둑질해

    먹고 신선이 되어 달 속에 들어가 월정(月精)이 되었다.” 하였다.

주석 : "시중(영의정)의 손녀로 시중 집에 왔으니"라는 뜻은 8世 조준의 배위는

          고성이씨로, 남편 조준이 시중을 역임한 정숙공의 집안으로, 부인의 조부도

          시중을 역임한 이암(李嵒) 이고, 역시 시중을 역임했으니 "시중의 손녀로 시중

          집에 왔으니" 라고 표현한 것이다. 8世 조준의 배위와 권근의 배위는 사촌지간

          으로, 철성부원군 행촌 이암의 손녀분들이다.

 

 

양촌선생문집 제9권 / 시(詩)

 

차운하여 우정(雨亭)이 순채국을 대접해 준 데에 사례한다. 2수

 

며칠 동안 함께 재숙했는데 / 數日同齋宿

높은 뜻에 다시금 돌보아 주셨네 / 高懷更眷思

빈번하게 별미로 입에 맞게 하시고 / 頻繁霑異味

절묘한 새 시도 들려 주시네 / 妙絶聽新詩

곱고 고운 순채국은 한없이 매끄럽고 / 蓴菜銀羹滑

향긋한 반주는 옥잔으로 마신다 / 香隣玉斝遲

사귀는 정 참으로 정중하여서 / 交情眞鄭重

교칠로 길이 약속을 한다 / 膠漆永爲期

새 고을에 어찌해서 우거하는가 / 新邑來何寓

높은 누각 몹시 마음에 들어서지 / 高樓最可思

한가롭게 거처하니 자취를 감출 만하고 / 齋居堪屛迹

술에 취해 흥이 나면 시도 함께 읊는다 / 醉興共吟詩

비 개니 푸른 산이 가까워지고 / 雨霽靑山近

한낮의 백일도 뉘엿뉘엿 가누나 / 天長白日遲

이곳저곳 등림해 아취 많으니 / 登臨多野趣

그윽한 기약에 위로가 된다 / 亦足慰幽期

 

1) 교칠(膠漆) : 아교와 칠. 두 가지 모두 물건을 붙이는 것이므로 피차의 교제가

    친밀함을 비유하여 쓴 말이다.

주석 : 순채(蓴菜)는 부규, 순나물이라고도 한다. 국, 탕 등으로 만들어 사대부들이

          먹던 고급음식이다

 

 

양촌선생문집 제10권 / 시(詩)

 

설중(雪中)에 오언율시(五言律詩) 한 수와 칠언절구(七言絶句) 두 수를 지어,

학사(學士) 이낙보 래(李樂甫來)의 좌하에 올리니, 이 시를 우정(雨亭) 조박

(趙璞)에게 전송(傳誦)하여 함께 교정해 주기를 바란다.

 

경물은 글을 지을 만한데 / 雲物堪書處

천지에 눈이 내리려 하네 / 乾坤欲雪時

분분히 내릴 때는 위세 있더니 / 繽紛來有勢

흩날려 가고는 소식도 없네 / 飄散去無期

매화 향기 아직은 풍기지 않고 / 未訝梅香動

버들개지 기이함만 보겠구나 / 唯看柳絮奇

앞으로 흰 눈을 세 번 볼 것이니 / 從今見三白

풍년 들 조짐을 짐작하겠네 / 豐瑞可前如

 

신도에 집을 빌어 집 걱정 잊고 / 新都僦屋任無家

눈을 바라보며 시 읊고 차 마시네 / 對雪哦詩只啜茶

병중에 한가로이 누워 있으니 / 病裡得閑高枕卧

적적한 마을 문에 해가 기우네 / 寂寥門巷日初斜

하얗게 내린 눈이 마을을 덮었는데 / 皚皚白雪遍人家

새벽에 아이 불러 차를 달인다 / 晨起呼童使煮茶

시상에 맑은 기운 스며들거든 / 要使詩脾淸氣入

붓 휘둘러 마음대로 써 볼거나 / 滿牋揮筆任欹斜

 

1) 오언율시(五言律詩) : 한시(漢詩)의 한 체. 여덟 구로 되어 있으며,

    한 구가 다섯 자로 된 것을 오언율시, 일곱 자로 된 것을 칠언율시라 한다.

2) 흰 눈을 세 번(三白) : 음력 정월에 세 차례 내리는 눈을 일컫는 말이다.

주석 : 9世 문평공(文平公) 조박(趙璞)은 개국일등공신이다.

         이낙보 래(李樂甫來)는 이래(李來, 1362~1416)로 자가 낙보(樂甫)·안국(安國), 

         시호는 경절(景節), 본관은 경주이다. 누이가 권근과 혼인하였다. 부친은 우정언

         (右正言)을 지낸 이존오(李存吾)로 경주이씨 석탄공파 파조이다. 신돈을 탄핵

         하려다 좌천되었다. 이래는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겸 판경승부사(判敬承府事)

         를 역임했으며, 사후에 종묘에 배향되었다.

 

번역 : 국학자료원. 한국고전번역원 | 이식, 오양, 김철희 이병훈외

출처 : 평양조씨대동보, 고려사, 양촌집, 안동권씨대종회, 한민족대백과사전.

 

작성 : 26세손 첨추공파 충호.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양촌(陽村) 권근(權近) 시(詩) 2 최고관리자 2025.07.28 39
43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양촌(陽村) 권근(權近) 시(詩) 1 최고관리자 2025.07.21 26
42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 시(詩) 3 최고관리자 2025.07.14 35
41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 시(詩) 2 최고관리자 2025.07.07 32
40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 시(詩) 1 최고관리자 2025.06.30 52
39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유항(柳巷) 한수(韓脩) 시(詩) 3 최고관리자 2025.06.23 99
38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유항(柳巷) 한수(韓脩) 시(詩) 2 최고관리자 2025.06.16 67
37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유항(柳巷) 한수(韓脩) 시(詩) 1 최고관리자 2025.06.09 123
36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목은(牧隱) 이색(李穡) 시(詩) 8 최고관리자 2025.06.02 2611
35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목은(牧隱) 이색(李穡) 시(詩) 7 최고관리자 2025.05.26 3337
34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목은(牧隱) 이색(李穡) 시(詩) 6 최고관리자 2025.05.19 3790
33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목은(牧隱) 이색(李穡) 시(詩) 5 최고관리자 2025.05.12 4766
32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목은(牧隱) 이색(李穡) 시(詩) 4 최고관리자 2025.05.05 4535
31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목은(牧隱) 이색(李穡) 시(詩) 3 최고관리자 2025.04.28 4411
30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목은(牧隱) 이색(李穡) 시(詩) 2 최고관리자 2025.04.21 3512
29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목은(牧隱) 이색(李穡) 시(詩) 1 최고관리자 2025.04.14 3671
28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가정(稼亭) 이곡(李穀) 시(詩) 하편 최고관리자 2025.04.07 3366
27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가정(稼亭) 이곡(李穀) 시(詩) 상편 최고관리자 2025.03.31 3647
26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급암(及庵) 민사평(閔思平) 시(詩) 최고관리자 2025.03.24 2452
25 6世 삼장법사(三藏法師) 의선(義旋)과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 시(詩) 최고관리자 2025.03.17 247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위로